불족석

불족석

  • 종류별: 사적명승천연기념물
  • 시대: 에도시대
  • 비고: 건조물

역사적인 부처이자 불교의 창시자인 석가모니에 대한 직접적인 묘사는 1세기 무렵까지 금기시되어 있었다. 그의 초상은 너무나 신성스러워서 예술로 표현이 불가능하다고 생각했다. 대신 석가모니의 존재는 불족석이라는 발모양이 찍힌 석판 형태로 자주 전해졌다. 불족석은 부처 모습을 표현한 가장 오래된 방법으로, 아시아 각지에서 발견된다.
코산지의 불족석은 에도시대(1603-1867)에 새겨졌다. 그 발모양에는 다양한 불교적 상징이 담겨 있다. 행운을 나타내는 쌍어 문양, 힘을 상징하는 금강저, 역사적인 부처와 그 가르침, 깨달음의 길을 나타내는 천폭윤보 등이 있다.

육조시대

오, 동진, 남조의 송, 제, 양 ,진 등 중국의 여섯 왕조 시대. 222-589년.

사본

손으로 써서 복제한 책이나 문서, 또는 그러한 행위 자체를 가리킨다.

이시야마데라

시가현 오쓰시 이시야마데라에 있는 도지 진언종의 대본산 사찰.

나라시대

헤이조쿄 즉 나라에 수도를 둔 시대. 겐메이 · 겐쇼 · 쇼무 · 고켄 · 준닌 · 쇼토쿠 · 고닌 7 대 칠십여 년간 (710~784). 미술사에서는 하쿠호 시대를 나라 시대 전기,이 시대를 후기로 덴표 시대라고도 한다. 나라조.

약사여래

동방 유리광세계의 교주. 12대원을 세워서 중생을 병의 고통으로부터 구하고, 신체적 결함을 제거하여 깨달음의 경지에 이르게 하고자 맹세한 부처.

각저

목시라고도 한다. 옻풀에 나무가루를 섞어 만든 것. 갈라짐, 이음매를 붙일 때 사용한다. 불상 제작이나 수리에 사용된다.

목심건칠기법

불상의 대체적인 모양을 나무를 조각해서 만들고, 그 위에 삼베를 발라 나뭇잎이나 나무가루를 섞은 옻을 두껍게 발라서 완성하는 기법. 불상 안에는 목심이 그대로 남아있다.

염지불

가까운 곳에 두거나 몸에 지니고 공양하는 불상.

묘에

조안3년(1173) 생. 현재의 와카야마현 아리타가와초, 유아사 가문 출신으로 화엄종 중흥의 시조이다. 신고지의 몬가쿠 조닌을 따라 출가해 도다이지에서 화엄을 배우고 가주지의 고젠으로부터 밀교의 전수를 받았다. 겐에이 원년(1206) 고토바인으로부터 도가노 땅을 받아 코잔지를 창건하고 화엄종 융성의 중심도장으로 삼았다. 간기 4년(1232)에 입적했다.

고신

1193~1264. 가마쿠라시대의 승려. 묘에 쇼닌의 수제자.

삼존불

당우에 안치되는 불상 한 세트의 경우, 가운데의 주존과 좌우 불상을 삼존불이라 칭한다. 통상 주존은 중존, 좌우 불상은 협시라 불린다.

일광보살

약사여래의 협시보살. 여래의 좌측에 배치되고 우측의 월광보살과 쌍을 이룬다. 태양 빛이 모든 어둠을 비추듯 윤회의 어둠을 밝게 비춰서 중생을 구제하는 덕을 지닌다고 한다.

월광보살

약사여래의 협시보살. 여래의 우측에 배치되고 좌측의 일광보살과 쌍을 이룬다. 달빛을 상징하는 보살.

개산당

종파나 사찰을 창건한 승려의 조각상, 위패 등을 안치한 당.

가사

염주

묘에 쇼닌 나무 위의 좌선

헌차식법회

즈시

불상이나 사리, 경전 등을 담는 불구.

表参道

入母屋造

母屋を切妻造とし、その四方に廂を葺き下ろして一つの屋根としたもの。

疎垂木

棰の間隔を広くとって割りつけた棰。

建築物の側面。

懸魚

屋根の破風の中央および左右に下げて、棟木や桁の先端を隠す建築装飾。

向拝

仏堂や社殿の前、または後などに主屋から突き出て、上に屋根、下に階段のあるところ。

蟇股

二本の水平材の間に置かれ、カエルが股を広げたように曲線状に左右の両裾が広がった部材。また鏃(やじり)の形状のひとつである刃先が二股に分かれた雁股(かりまた)から転じたともいわれる。

虹梁

上方に曲がった梁。雨後の虹を連想しての名。大陸建築伝来以来、ずっと用いられている重要な建築材である。

蔀戸

吊り上げたり外したりする、板の表裏もしくは表面のみに格子戸を組み込んだ建具。上下2枚に分かれている場合が多い。

석가여래

檜皮葺

ヒノキの皮を剥いだ檜皮を竹釘で打ちつける工法で葺いた屋根。

堂宇

堂の建物。

運慶

生年不詳 - 1224年。平安時代末期から鎌倉時代初期にかけて活動した仏師。興福寺を拠点に活動していた奈良仏師康慶の子。康慶が始めた鎌倉彫刻の新様式を完成させた。

丈六

仏像の高さの基準。一丈六尺の省略。立像では像高1丈6尺(約4.8m)の像、座像では像高8尺の像(約2.4m)をいう。

盧舍那仏

華厳経の教主。大乗仏教における信仰対象である如来の一尊。

室町時代

足利氏が政権を握り京都室町に幕府を開いた時代。明徳3年(1392)南北朝の合一から、天正1年(1573)第15代将軍義昭が織田信長に追われるまでの約180年間を指す。その後期すなわち明応の政変後を戦国時代とも称する。また、南北朝時代(1336〜1392)を室町時代前期に含める説もある。

江戸時代

徳川家康が慶長5年(1600)関ヶ原の戦で勝利を占め、1603年幕府を江戸に開いた頃から、慶応3年(1867)徳川慶喜の大政奉還に至るまで約260年間の称。徳川時代。

어실 닌나지

교토시 우쿄구에 위치하는 진언종 어실파의 총본산 사찰. 888년 창건.

入寂

寂滅に入ること。僧が死ぬこと。

선당원

묘에(1174~1232)가 말년을 보내고 입적한, 과거 고산지에 있던 당우.

明恵上人坐像

무로마치시대

아시카가 씨가 정권을 잡아 교토 무로마치에 막부를 연 시대. 1392 년 (메이토쿠 3) 남북조가 합해진 이후 1573 년 (덴쇼 1) 제 15 대 쇼군 요시아키가 오다 노부나가에 축출당하기 까지의 약 180 년 간을 가리킨다. 그 후기 메이오 정변 이후를 센고쿠(전국) 시대라고도 칭한다. 또한 남북조 시대 (1336~1392) 를 무로마치 시대 전기에 포함하는 설도있다.

에도시대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1600 년 (게이쵸 5)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승리를 하고 1603 년 에도에 막부를 열었을 때부터 1867 년 (게이오 3) 도쿠가와 요시노부의 다이세이호칸에 이르기까지 약 260 년간의 명칭. 도쿠가와 시대.

宝形造

屋根の一種。正方形の建物で、隅棟が屋根の中央に集まるもの。方形造ともいう。

露盤

仏塔の相輪のいちばん下にある四角い盤。

伏鉢

相輪などの露盤上にある、鉢を伏せたような形のもの。

宝珠

宝玉。塔の相輪の一部で、水煙の上に載せる飾り。

  • 蔀戸

    吊り上げたり外したりする、板の表裏もしくは表面のみに格子戸を組み込んだ建具。上下2枚に分かれている場合が多い。

    花頭窓

    禅宗様のもので、多くは桟唐戸や書院の欄間などに用いられる。格子の組子に花形を付けたことから花欄間ともいい、この組子を「花組子」「花子」という。

    세키스이인

    勅額

    天皇直筆による額。

    고토바 상황

    1180년 태생. 가마쿠라 전기의 천황. 다카쿠라 천황의 넷째 아들. 1198년에 양위하고 상황(상왕)으로서 섭정을 했다. 와카에 대한 이해가 깊어 신고금와카집을 칙명으로 편찬했다. 1221년 호조 요시토키를 칠 것을 명하였으나 실패하여 오키로 유배되었다(조큐의 난). 1239년 유배지 오키에서 서거했다.

    칙원

    칙명에 의한 기원. 천황의 기원.

    화엄종

    중국·당시대에 대성한 화엄경을 근본으로 하는 종파. 일본에는 덴표 8년(736)에 당나라의 도센이 전했다고 한다. 현재 도다이지가 총본산이다.

    下賜

    高貴の人が、身分の低い人に物を与えること。

    宸筆

    天子、天皇が自身で書いたもの。天皇の直筆。

    華厳経

    大乗経典。華厳宗の根本聖典。

    文殊菩薩

    智慧を象徴する菩薩。

    普賢菩薩

    仏の悟り,瞑想,修行を象徴する菩薩。

    菩薩行

    自ら行動することで自他共に幸福になろうと願う、施しを行う修行のひとつ。

    선재 55 선지식

    선재동자가 선지식을 55번 만나 가르침을 듣는 이야기.

    覆屋

    主に本殿を保護するために設けられている建物。

    桟瓦

    横断面が波形の瓦一種類だけを使う葺き方で、江戸時代に考案された。本瓦葺に比べて経済的なことから簡略瓦とも呼ばれていた。現在、町屋や住宅などで普通に葺かれているのが桟瓦葺である。

    桟唐戸

    框の中に桟を組み、その間に薄板や連子をはめ入れた戸。

    오륜탑

    불탑의 하나. 오단으로 돌을 쌓는데, 아래로부터 땅, 물, 불, 바람, 공(空)을 뜻한다. 지륜은 사각, 수륜은 항아리나 구슬 모양, 화륜은 사각형의 입(笠), 풍륜은 공기 모양, 공륜은 보주 모양으로 쌓아올린 탑.

    보협인탑

    묘비탑, 공양탑 등으로 사용되는 불탑의 한 종류.

    여법경탑

    아루베키요와

    가스가 다이샤

    768년 창건. 나라현 나라시. 세계유산 '고도 나라의 문화재' 중 하나. 나라시대에 헤이조쿄의 수호와 국민의 번영을 기원하기 위해 창건되었다.

    가스가 묘진

    가스가 다이샤에서 모시는 신의 총칭.

    託宣

    神のことば。神のおつげ。神が人にのりうつったり、夢の中に出現したりして人間に伝える意志。

    鎮守

    鎮守神のこと。また、その神を祭った神社。

    스미요시 묘진

    스미요시 다이샤(오사카시)에서 모시는 신.

    見世棚造

    小規模の社殿で、土台の上に組まれ、正面に階段のないもの。

    妻入

    切妻屋根・入母屋屋根の建物で、妻の側に出入口を設けて、それを正面とするもの。

    向拝

    仏堂や社殿の前、または後などに主屋から突き出て、上に屋根、下に階段のあるところ。

    破風

    一般に切妻屋根の側面にある三角形の合掌の部分を指す。

    千木

    社殿の屋根の両端の所で、交差し高く突き出ている部分のこと。

    헤이안 시대

    간무 천황의 헤이안 천도 (794 년)부터 가마쿠라 막부의 성립 (1185 년)까지 약 400 년 동안, 정권의 중심이 헤이안 경 (교토)에 있던 시대. 보통 초 · 중 · 후 3 기, 즉 율령제 재흥기 · 섭정 관백기 · 원정기 (말기는 헤이시 정권기)로 나뉜다. 헤이안초 시대.

    가마쿠라시대

    미나모토노요리토모가 가마쿠라 막부를 연 후 1333 년 (겐코 3) 호조다카토키의 멸망에 이르기까지 약 150 년간의 명칭.

    에이사이 선사

    1141~1215년. 헤이안시대 말기부터 가마쿠리시대 초기의 승려. 일본 임제종의 개종조. 겐닌지를 창건. 쇠퇴하던 차 마시는 습관을 일본에 다시 전한 것으로도 유명하다.

    쌍어 문양

    암수 한쌍의 물고기를 서로 마주보게 하여 그린 문양. 자손의 번영을 기원하는 길상 그림.

    금강저

    고대 인도의 무기에 유래하는, 번뇌를 깨부수는 보리심을 상징한다.

    천폭윤보

    부처의 발바닥에 있는 천폭의 수레바퀴 모양의 문양. 부처의 32상 중 하나.

    高橋箒庵

    本名:高橋 義雄。1861年-1937年。日本の実業家。

    数寄者

    茶の湯を趣味とする人。

  • 四畳台目の本席と八畳の広間

    三畳の水屋

    露地

    灯篭

    春日灯篭

    待合兼鐘楼

    茶恩鐘

    梵鐘

    中国の古楽器の鐘に対して、寺院で用いるつりがねの称。多く鐘楼に吊り、撞木で打ち鳴らす。